
비점오염저감시설 종류와 특징 정리 🌿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ion)은 공장 배출구나 하수관처럼 명확한 배출 지점이 없는 오염원을 말합니다. 주로 도로, 농경지, 도시 지역에서 빗물과 함께 오염물질이 하천·호수로 흘러들어가는 형태죠. 이를 막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비점오염저감시설입니다.
아래에서 주요 시설 종류와 특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침사지(침전지, Sedimentation Basin)
원리 : 빗물에 섞인 흙, 모래 등 부유물질(SS)을 가라앉혀 제거.
설치 위치 : 하천 유입 전, 빗물 유출구 근처.
장점 : 구조 단순, 유지관리 용이.
단점 : 부유물질만 제거 가능, 용량 부족 시 효과 저하.
---
2. 저류지(Detention Basin / Retention Basin)
원리 : 빗물 유출을 일시적으로 저장 후 서서히 방류, 토사·오염물질 침전 유도.
형태 :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인공 연못 형태.
장점 : 홍수 예방과 수질 개선 동시 가능.
단점 : 부지 확보 필요, 초기 설치비 높음.
---
3. 식생여과대(Vegetative Filter Strip)
원리 : 풀, 관목 등의 식생을 이용해 빗물 흐름 속도를 줄이고 침투·여과.
설치 위치 : 농경지 주변, 도로변.
장점 : 친환경적, 경관 개선 효과.
단점 : 관리 소홀 시 잡초·병충해 발생 가능.
---
4. 식생수로(Vegetated Swale)
원리 : 잔디·갈대가 심어진 완만한 수로에서 빗물 흐름 완화, 침투 및 여과.
특징 : 물길 역할 + 오염 저감.
장점 : 조경과 수질 개선을 동시에.
단점 : 토양 포화 시 침투효과 감소.
---
5. 인공습지(Constructed Wetland)
원리 : 습지 식물과 토양, 미생물 작용으로 영양염류·부유물질·중금속 제거.
형태 : 수평류, 수직류, 하이브리드형.
장점 : 다양한 오염물질 처리 가능.
단점 : 넓은 부지 필요, 계절별 처리효율 차이.
---
6. 침투시설(Infiltration Facility)
종류 : 침투도랑, 침투정, 침투트렌치 등.
원리 : 빗물을 지하로 스며들게 하여 오염물질 여과 및 지하수 재충전.
장점 : 홍수 저감, 지하수 보충.
단점 : 토양 투수성 낮으면 효과 제한.
---
7. 여과시설(Filter Facility)
종류 : 모래여과지, 여과상자, 바이오필터 등.
원리 : 모래·자갈·활성탄 등 여재를 통과하며 오염물질 제거.
장점 : 처리효율 높음.
단점 : 여재 교체·세척 필요.
---
8. 빗물정화저장시설
원리 : 빗물을 모아 침전·여과 후 재이용.
장점 : 수질 개선 + 재이용 가능.
활용 : 조경용수, 청소용수.
---
9. 기타 첨단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수분리기(Oil & Grit Separator) : 도로·주차장 빗물의 기름과 모래 분리.
부상분리시설(Dissolved Air Flotation) : 미세기포로 기름·부유물질 제거.
복합처리시설 : 침전+여과+흡착 등을 결합해 처리 효율 강화.
---
💡 정리
자연형 시설 :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인공습지 (경관·생태효과)
인공 구조물형 : 침사지, 저류지, 여과시설 (처리효율 높음)
지하형·재이용형 : 침투시설, 빗물정화저장시설 (홍수저감+지하수 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