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례식장 예절, 실수 없는 기본 가이드

by 678matthew 2025. 9. 1.
반응형


장례식장 예절, 실수 없는 기본 가이드

⚱ 장례식장 예절, 실수 없는 기본 가이드


1. 장례식장 방문 시 마음가짐

장례식장은 고인을 애도하고 유가족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하는 자리입니다.

경건하고 단정한 태도

과한 웃음이나 잡담 금지

휴대폰은 무음 또는 꺼두기



---

2. 복장 예절

남성: 검은 정장, 흰 셔츠, 검정 넥타이, 검은 양말 & 구두

여성: 검은색 원피스나 정장, 무채색 상의와 하의, 지나친 액세서리·화려한 화장 자제

어린이/학생: 검정·남색 계열의 단정한 복장


👉 갑작스러운 상황이라 정장이 없을 경우, 최대한 어두운색 단정한 옷차림으로 준비하면 됩니다.


---

3. 조문 절차

🙏 조문 순서

1. 장례식장 도착 후 → 빈소 위치 확인


2. 향 또는 헌화

종교에 따라 다름 (불교는 향, 기독교는 헌화, 천주교는 묵상)



3. 분향·헌화 후 묵념


4. 영정 앞에 두 번 절

남성: 큰절, 여성: 반절 (절은 지역·가풍에 따라 차이 있음)



5. 유가족께 인사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또는 짧게 “힘내십시오”




---

4. 부의금 예절

부의금 봉투: ‘부의(賻儀)’, ‘조의(弔意)’ 또는 ‘근조(謹弔)’라고 적힌 봉투 사용

이름 기재: 봉투 겉면에 성명, 뒷면에 주소·연락처 기입

금액: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다르며, 보통

친척: 5만~10만 원 이상

직장 동료: 3만~5만 원

지인: 3만 원 정도



👉 부의금은 조문할 때 유가족에게 직접 전달하지 않고 부의금 접수처에 맡기는 것이 예의입니다.


---

5. 조문 후 식사 예절

장례식장에서 제공되는 식사(국밥 등)는 유가족이 “드시고 가라” 권할 때만 가볍게 먹는 것이 예의

급히 자리를 떠야 할 경우 “죄송하지만 일정상 먼저 인사드리겠습니다” 하고 인사 후 이동



---

6. 피해야 할 행동

과도한 질문 (사망 원인, 장례 절차 등)

큰 소리로 웃거나 떠드는 행동

술에 취해 실수하는 행동

부의금 액수 비교, 뒷담화



---

7. 장례식장 방문이 어려울 때

직접 가지 못할 경우 부의금 송금 + 조화 보내기

문자나 전화는 간단하고 진중하게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직접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



---

✅ 정리
장례식장 예절의 핵심은 단정한 복장, 정중한 태도, 간단한 위로의 말입니다. 불필요한 행동을 줄이고 진심 어린 마음을 전하는 것이 가장 큰 예의입니다.


-

반응형